지연
네트워크층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이상적인 서비스를 원하지만, 네트워크층은 완벽하지 않다.
네트워크의 성능은 지연(delay), 처리량(throughput), 패킷 손실률(packet loss)로 측정할 수 있다.
혼잡 제어는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요소이다.
네트워크상의 지연은 전송 지연, 전파 지연, 처리 지연 그리고 대기 지연이라는 네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1. 전송 지연 (Transmission Delay)
발신지 호스트나 라우터는 패킷을 즉시 보낼 수 없다.
송신기는 선로 상의 패킷의 비트를 하나씩 차례로 보낼 필요가 있다. 패킷의 첫 번째 비트가 t1, 마지막 비트가 t2이라는 시간이 걸렸다면 패킷의 전송 지연은 (t2-t1)이 된다.
따라서 패킷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송 지연은 길어진다.
Delaytr = (Packet Length)/(transmission rate) = L/B (Length/Bit Rate)
2. 전파 지연 (propagation delay)
전파 지연은 전송 매체를 통해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 1비트가 전달되는 시간을 말한다.
전파 지연은 전송매체의 전파 속도와 링크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Delaypg= (Distance)/(Propagation speed) = D/V (Distance/Velocity)
3. 처리 지연 (processing Delay)
처리 지연은 라우터나 목적지 호스트가 1) 입력 포트로 패킷을 받고, 2) 헤더를 제거하고, 3) 오류 검출을 수행한 뒤, 4) (라우터의 경우) 패킷을 출력 포트로 보내고 / (목적지 호스트인 경우)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 패킷을 전달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처리 지연은 각 패킷마다 다르지만 보통 평균으로 계산된다.
Delaypr = Time required to process a packet
4. 대기 지연 (queuing delay)
대기 지연은 라우터에서 발생한다.
라우터는 각 입력 포트에 처리할 패킷을 보관할 큐와 출력 포트에 전송할 패킷을 보관할 큐를 가지고 있다.
큐 내부의 지연은 라우터의 입력 큐와 출력 큐에서 패킷이 대기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구한다.
Delayqu = Time a packet waits in input and output queues in a router
처리량
처리량(throughput)은 해당 지점의 실질적인 전송률이다.
경로상에서 패킷은 서로 다른 전송률을 가진 다수의 링크(네트워크)를 통과한다.

평균 전송률은 가장 작은 반지름을 가진 병목 지점의 파이프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연속된 n 링크를 가진 경로에서 처리량은 라우터 사이의 전송량중 minimum값으로 계산한다.
패킷 손실
라우터가 다른 패킷을 처리하는 동안 수신되는 패킷은 자신의 순서가 될 때까지 입력 버퍼에서 대기해야 한다. 그러나 라우터는 한정된 버퍼를 가지고 있으므로 버퍼가 가득찬 경우 수신하지 못하고 폐기하게 된다.
인터넷의 네트워크층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해당 패킷을 재전송하는데 이 경우 더많은 오버플로우와 패킷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IT > 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층: 데이터전송 - ICMPv4 (0) | 2023.04.13 |
---|---|
네트워크층: 데이터전송 - 데이터그램(Datagram) (0) | 2023.04.13 |
네트워크층: 데이터전송 - 인터넷 프로토콜(IP) 버전 4 (0) | 2023.04.13 |
네트워크층: 데이터 전송 - 패킷 교환 (0) | 2023.04.12 |
네트워크층: 데이터 전송 - 서비스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