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SQLD

SQLD 노랭이 [도메인]

728x90
반응형

도메인(Domain)은 속성(Attribute)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개념입니다. 즉, 각 속성에 대해 허용되는 값들이 무엇인지 제한하거나 규칙을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메인은 데이터의 유효성을 보장하고,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도메인은 속성이 자길 수 있는 값의 범위, 즉, 어떤 값만 들어갈 수 있는지 정해주는 규칙이다. 이렇게 도메인을 정하면 잘못된 값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메인의 주요 특징

1. 값의 범위: 도메인은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성별"이라는 속성의 도메인은 '남' 또는 '여'와 같은 값만 허용될 수 있습니다.
"성별"이라는 도메인에 "파란색", "3학년"과 같은 속성이 들어갈 수 없다.
   
2. 데이터 타입과 제약 조건: 도메인은 속성의 데이터 타입(정수, 문자열 등)과 해당 값이 가질 수 있는 제약 조건(길이, 패턴 등)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학년"이라는 속성의 도메인은 1, 2, 3, 4와 같은 정수 값만 허용될 수 있습니다.
"학년"이라는 속성의 도메인이 [1,2,3,4,5,6] 값만 허용 된다면, 그 외의 값 [다른 데이터 타입] "삼학년", "사학년" 혹은 [제약 조건 외] 7, 10 같은 값은 들어갈 수 없다.

3. 유효한 값만 입력 가능* 도메인을 설정하면 속성에 대해 유효한 값만 입력되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나이"라는 속성에는 0보다 큰 숫자인 양수만 들어갈 수 있다. 음수인 -1살, -5살은 유효하지 않기 떄문

 예시

- 성별 속성의 도메인: '남', '여' (성별은 이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음)
- 학년 속성의 도메인: {1, 2, 3, 4} (학년은 1부터 4까지의 정수만 허용됨)
- 나이 속성의 도메인: 양의 정수 (나이는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양수로 제한)

요약

도메인은 각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나 규칙을 정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유효한 값만 저장되도록 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1][2][3].

Citations:
[1] https://ossam5.tistory.com/662
[2] https://wikidocs.net/170654
[3] https://velog.io/@wi8tkf/%EC%86%8D%EC%84%B1%EA%B3%BC-%EB%8F%84%EB%A9%94%EC%9D%B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