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데이터베이스의 3단계 스키마 구조는 외부 단계, 개념 단계, 내부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관점에서 추상화하여 표현합니다. 이 구조는 데이터베이스의 복잡성을 줄이고,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3단계 구조는 데이터를 다루는 사람들이 각자 필요한 만큼만 볼 수 있게 해주고, 컴퓨터가 데이터를 잘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1. 외부 단계 (External Level)
- 사용자 관점(View 단계에서의 여러 사용자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하는 단계입니다.
- 각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데이터만 볼 수 있으며, 이를 외부 스키마라고 부릅니다.
- 예를 들어, 학교의 학생은 자신의 성적 정보만 볼 수 있고, 교사는 반 전체의 성적을 볼 수 있는 것처럼, 사용자마다 다른 뷰를 가질 수 있습니다[1][3][5].
사용자가 보는 부분으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만 볼 수 있다.
2. 개념 단계 (Conceptual Level)
- 조직 전체의 관점(통합된 모든 사용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단계입니다.
- 이 단계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통합하여 정의하며, 데이터 간의 관계와 제약 조건도 포함됩니다. 이를 개념 스키마라고 부릅니다.
-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전체 구조를 정의하며, 물리적인 저장 방법과는 독립적입니다[1][3][6].
전체 데이터를 큰 그림을 보여주는 단계. 학교 전체의 데이터를 예를 들면, 학생, 선생, 교실 등 모든 정보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설명하는 단계이다. 개념 단계에서는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되어있는지는 신경쓰지 않고, 어떤 정보가 있는지 또한, 관계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정리한다.
3. 내부 단계 (Internal Level)
- 저장 장치 관점에서 데이터가 실제로 어떻게 저장되는지를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인덱스 구조, 레코드 형식 등을 다루며 이를 내부 스키마라고 부릅니다.
-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가 하드디스크나 메모리 같은 저장 장치에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설명합니다[1][4][7].
컴퓨터 안에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HDD / 메모리 등 어디어, 어떻게 넣을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3단계 구조는 각각 독립적이어서, 한 단계에서 변경이 발생해도 다른 단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데이터 독립성을 보장합니다.
Citations:
[1] https://gunjoon.tistory.com/73
[2] https://taemtaem-it.tistory.com/entry/1%EC%9E%A5-%EB%8D%B0%EC%9D%B4%ED%84%B0-%EB%AA%A8%EB%8D%B8%EB%A7%81%EC%9D%98-%EC%9D%B4%ED%95%B4
[3] https://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501
[4] https://www.javatpoint.com/dbms-three-schema-architecture
[5] https://yoons2owo.tistory.com/10
[6] https://sommda.tistory.com/108
[7] https://29223.tistory.com/12
반응형
'IT > SQ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노랭이 [발생 시점 엔티티] (1) | 2024.11.08 |
---|---|
SQLD 노랭이 [엔티티 특징 & 조건] (0) | 2024.11.08 |
SQLD 노랭이 [ERD] (1) | 2024.11.08 |
SQLD 노랭이 [데이터 모델링 유의점] (0) | 2024.11.08 |
SQLD 노랭이 핵심정리 [데이터 모델링]이란? (2)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