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ERD(엔터티 관계 다이어그램; Entity Relation Diagram)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요한 도구로, 시스템 내에서 엔터티(객체)와 그들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림이에요. 이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연결되고 상호작용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ERD는 주로 사람, 사물, 개념 등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며, 복잡한 시스템을 더 단순하게 만들고,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돕습니다.
ERD는 데이터를 정리해서 보여주는 그림이다. 예를 들면, 학교에서 친구, 선생, 수업 같은 정보를 잘 정리해서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ERD 작성 순서 6단계
1. 엔터티 식별
- 먼저 시스템에서 중요한 객체나 개념인 엔터티를 찾아야 해요. 엔터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해야 할 주요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학생", "교사", "수업" 같은 것들이 엔터티가 될 수 있어요[2][4].
- 팁: 시스템 설명에서 명사를 찾아보면 엔터티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요.
엔티티(객체) 찾기: 우리가 알고 싶은 정보의 "큰 덩어리"를 찾는 것이다. 학생, 선생, 수업 같은 것들을 엔티티라고 부른다.
2. 엔터티 간 관계 정의
- 다음으로, 각 엔터티가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관계를 정의해요. 예를 들어, "학생"은 "수업"에 등록하고, "교사"는 "수업"을 가르치는 관계가 있을 수 있어요[2][4].
- 관계는 1:1, 1:다, 다:다 같은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엔티티(객체)끼리 서로 관계를 설명해주는 단계
3. 속성 추가
- 각 엔터티에 대한 세부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을 추가해요. 예를 들어, "학생" 엔터티에는 "이름", "학번", "생년월일" 같은 속성이 있을 수 있어요[1][2].
- 속성은 엔터티의 특성을 설명하는 정보로,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각 엔티티(객체)에 더 자세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속성은 엔티티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4. 기본 키와 외래 키 설정
- 각 엔터티에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본 키(Primary Key)를 설정해요. 예를 들어, 학생의 경우 "학번"이 기본 키가 될 수 있어요.
- 또한, 다른 엔터티와 연결될 때 사용하는 외래 키(Foreign Key)도 설정해야 해요. 외래 키는 두 엔터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예요[3].
각 엔티티마다 특별한 번호나 값을 정해서 다른 것과 구분할 수 있게 해준다.
5. ERD 그리기
- 이제 엔터티, 속성, 관계 등을 모두 모아 실제로 ERD를 그려요. 각 엔터티는 사각형으로, 속성은 타원으로 표시하고, 관계는 선으로 연결해 표현해요[2][4].
- 이때 표준 기호와 규칙을 사용해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게 그리는 것이 중요해요.
실제로 그림을 그리는 단계. 데이터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한눈에 볼 수 있다.
6. 검토 및 수정
- 마지막으로 작성한 ERD를 검토하고 필요한 부분을 수정해요. 모든 엔터티와 관계가 제대로 정의되었는지 확인하고,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검토하여 빠진 부분이 없는지 확인합니다[4].
이 과정을 통해 ERD를 작성하면 시스템의 데이터 구조와 흐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더 쉽게 할 수 있어요!
Citations:
[1] https://miro.com/diagramming/what-is-an-er-diagram/
[2] https://baknowledgeshare.com/5-steps-to-create-an-entity-relationship-diagram-erd/
[3] https://builtin.com/articles/entity-relationship-diagram
[4] https://miro.com/diagramming/how-to-draw-an-er-diagram/
[5] https://www.techtarget.com/searchdatamanagement/definition/entity-relationship-diagram-ERD
반응형
'IT > SQ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노랭이 [발생 시점 엔티티] (1) | 2024.11.08 |
---|---|
SQLD 노랭이 [엔티티 특징 & 조건] (0) | 2024.11.08 |
SQLD 노랭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구조 3단계] (0) | 2024.11.08 |
SQLD 노랭이 [데이터 모델링 유의점] (0) | 2024.11.08 |
SQLD 노랭이 핵심정리 [데이터 모델링]이란? (2)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