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SQLD

SQLD 노랭이 [발생 시점 엔티티]

728x90
반응형

엔티티는 발생 시점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본(키) 엔티티, 중심 엔티티, 행위 엔티티입니다. 이 분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각 엔티티가 언제 발생하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데이터 모델링에 영향을 미칩니다.

엔티티(객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큰 덩어리로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는 "학생", "수업", "성적"같은 것들이 엔티티(객체)인 것!

엔티티(객체)는 언제 생기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서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기본 엔티티 (Key Entity)
   - 기본 엔티티는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발생하며, 다른 엔터티들이 참조하는 기초적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엔터티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다른 엔터티에 의존하지 않고 고유한 식별자를 가집니다.
   - 특징: 기본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의 핵심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며, 주로 정적이고 자주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집니다. 이들은 시스템의 기반을 이루며, 다른 엔터티들이 이 엔터티를 참조하여 관계를 형성합니다.
   - 예시: 
     - "학생", "고객", "제품" 등이 기본 엔터티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학생" 엔터티는 학번을 통해 고유하게 식별되며, 다른 수업이나 성적 같은 데이터가 이 학생을 참조하게 됩니다.

기본 엔티티는 가정 먼저 생기는 중요한 정보이다. 다른 정보들이 이 기본 정보를 참고해서 연결된다. 핵심 데이터 저장!!

2. 중심 엔티티 (Core Entity)
   - 중심 엔터티는 기본 엔터티와 행위 엔터티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는 중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습니다. 중심 엔터티는 기본적으로 기본 엔터티와의 관계를 통해 발생하며, 시스템 내에서 중요한 비즈니스 활동이나 프로세스를 표현합니다.
   - 특징: 중심 엔터티는 여러 기본 엔터티와 관계를 맺으며, 특정 시점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관리합니다. 이들은 주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자주 사용되며, 비즈니스 로직의 중심이 되는 데이터를 다룹니다.
   - 예시:
     - "수업", "계약", "주문" 등이 중심 엔터티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수업"은 학생과 교사(기본 엔터티)와 연결되며, 학생이 어떤 수업을 듣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기본 엔티티와 연결되어서 중요한 정보를 나타낸다. 기본 정보와 관련된 활동!!!

3. 행위 엔티티 (Transaction Entity)
   - 행위 엔터티는 특정 시점에 발생하는 이벤트나 활동을 기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들은 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행위를 추적합니다.
   - 특징: 행위 엔터티는 동적이며, 시간 경과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가 계속해서 추가됩니다. 이들은 주로 트랜잭션(거래)이나 로그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며, 시스템 내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활동을 추적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예시:
     - "성적", "거래 내역", "배송 기록" 등이 행위 엔터티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성적"은 학생이 시험을 치른 후 그 결과가 기록되는 행위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행위 엔티티는 특정한 일이 일어났을 떄 생기는 정보,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정보가 계속 추가된다.

 요약

기본(키) 엔터티: 시스템의 기초적인 정보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다른 엔터티가 이를 참조함

가장 먼저 생기는 중요한 정보(예: 학생, 선생)


중심 엔터티: 기본 엔터티와 행위 엔터티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며 비즈니스 활동의 중심이 되는 정보

기본 정보와 연결된 중요한 활동(예: 수업)

행위 엔터티: 특정 시점에 발생하는 이벤트나 활동을 기록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
시간이 지나면서 새롭게 생기는 정보(예: 성적)

기본이 중심을 해서 행위를 만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