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컴퓨터네트워크

(10)
네트워크층: 데이터 전송 - 패킷 교환 라우터는 마치 전기 스위치가 입력단의 전기를 출력단으로 연결하는 것과 같이, 입력 포트와 출력포트 사이의 연결을 만드는 교환기이다. 네트워크층에서는 상위 계층에서 온 메시지는 처리할 수 있는 크기의 패킷들로 단편화되고 각 단편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오늘날 패킷 교환망에서 패킷의 경로를 찾기 위해 데이터그램 방식(datagram approach)과 가상-회선 방식(virtual-circuit approach)을 사용한다. 데이터그램 방식(datagram approach): 비연결형 서비스 (User Datagram Protocol) 네트워크에서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인터넷상의 모든 패킷은 각각 독립적인 개체였다. 같은 메시지에 속한 패킷이라도 서로 연관성이 없었다. 각 패킷은 패킷의 헤더에 ..
네트워크층: 데이터 전송 - 서비스 TCP/IP 프로토콜 그룹에서 네트워크층은 호스트-호스트 메시지 전달을 책임진다. 네트워크층은 전송층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링크로부터 서비스를 받는다. 즉,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층 으로 서비스가 이동한다. 오른쪽 그림은 네트워크층에서 앨르스와 밥 사이의 통신을 보여준다. ⁉️ 엘리스와 밥(Alice and Bob)은 암호학이나 물리학 등의 분야에서 자주 사용하는 가상 이름(placeholder names)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안전하게 메시지를 전송하려 한다면.." 이라는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면 헷갈리기 쉽고 이해가 어려우므로, 사람 이름을 이용하여 "앨리스가 밥에게 안전하게 메시지를 전송하려 한다면..." 이라는 식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네트워크층에서 제공..

반응형